무상거주사실확인서는 보증금이나 월세를 내지 않고 무료로 거주하는 사람의 거주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입니다. 이는 건강보험료 감면이나 법적 서류 제출 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아래에서 양식을 다운로드 하세요!
파일을 선택하세요!
간편인증 후 이용가능합니다.
무상거주사실확인서
항목 | 설명 |
---|---|
정의 | 무료로 특정 주소지에 거주하는 사실을 증명하기 위한 서류 |
주요 사용처 | 건강보험료 감면, 행정기관 제출 서류 |
작성 필요 항목 | 무상거주자 및 건물 소유자 정보, 거주 기간, 관계, 서명 등 |
발급 방법
발급 경로 | 절차 |
---|---|
온라인 발급 | 1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접속 2. 민원 서식자료실에서 ‘무상거주’ 검색 3. 첨부파일 다운로드 및 작성 |
오프라인 발급 | 주민센터 방문 후 서류 작성 및 신청 |
작성법
항목 | 작성 요령 |
---|---|
무상거주자 정보 | 이름, 주민등록번호, 주소, 전화번호, 건강보험 납부자번호(11자리) 작성 |
거주 기간 및 사유 | 무료로 거주하는 시작일 및 종료일, 무상거주 사유를 선택하여 기재 |
건물 소유자 정보 | 건물 소유자의 이름, 주민등록번호, 주소, 연락처 작성 |
서명 및 날인 | 건물 소유자의 서명 또는 도장 필요 |
무상거주 사유 예시
사례 번호 | 사례 내용 |
---|---|
1 | 부모님의 집에서 거주하면서 주거비를 부담하지 않는 경우 |
2 | 고시원, 찜질방 등에서 거주하면서 임대료를 따로 내지 않는 경우 |
3 | 친척이 소유한 집에서 임차료 없이 거주하는 경우 |
4 | 회사에서 제공하는 기숙사에 무료로 거주하는 경우 |
작성 시 주의사항
- 임차인의 보호: 무상거주사실확인서를 작성할 경우, 대항력이나 우선변제권 상실 가능성에 주의해야 합니다.
- 정확한 정보 기재: 거주 기간과 관계를 명확히 기재하고 사실과 다르게 작성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.
- 서류의 활용 목적 파악: 건강보험료 감면이나 행정 업무를 위한 것인지 확인 후 제출해야 합니다.
FAQ
무상거주사실확인서는 어디서 발급받나요?
온라인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무상거주사실확인서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인가요?
건강보험료 감면이나 주소지 변경 신고 등 행정업무에 필요할 때 작성합니다.
무상거주사실확인서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요?
대항력이나 우선변제권 상실 가능성을 인지하고 임대인의 요구를 신중히 검토해야 합니다.
가족 간 무상거주도 확인서가 필요한가요?
네, 가족 간 무상거주도 서류로 증명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.
무상거주사실확인서는 행정 절차와 개인의 주거 사실 증명에 꼭 필요한 문서입니다.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작성하고 활용 목적에 맞게 제출하여 불이익을 방지하세요.